중국인 관광 특수에 자국산 버스 이용 선호
버스 운전자들, 안전문제로 내키지 않지만…

▲ 제주도의 명물로 자리 잡을 중국 타이치 그룹 TGM사의(구 한국화이바) 전기 버스
중국산 버스가 국내 시장에 상륙한 것은 비단 최근의 일이 아니다. 잊을만하면 나타나는 단골손님처럼 국내 버스 시장을 두드리지만 눈에 띄는 성과 없이 안전성과 품질 문제로 세간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세간의 편견을 받고 있는 중국산 버스가 과연 국내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까.

국내에 진출한 대표적인 중국산 버스로는 선롱버스를 꼽을 수 있다. 선롱버스는 국내 첫 진출에 성공한 뒤 국내 소비자의 입맛을 충족시키며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한국시장에서 안착하는 듯 했다.

하지만 안전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국토부의 리콜 명령을 받은 뒤 국내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여기에 국내의 한 지자체가 시범 도입한 뒤 잦은 고장으로 배터리를 교체한 전기버스 역시 중국 업체의 배터리 사용이 원인으로 지목된 바 있다.

이처럼 중국산이라는 꼬리표는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을 살만한 사건 사고를 불러일으켜 왔다. 하지만 본지는 최근 중국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제주도 지역을 중심으로 깜짝 선전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그 원인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봤다.

요우커의 애국심, “우리 것 탈래”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11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 수는 222만 명이지만, 지난해 약 600만 명으로 급격히 증가한 데 이어 2018년에는 1,000만 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 5월에는 회사 포상 관광차 입국한 8,000여 명의 중국인들이 한강 시민공원에 마련된 축구장 3배 크기의 장소에서 삼계탕 파티를 하는 등 급격하게 높아진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짐작게 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이동수단으로 관광 버스를 대절할 때, 자국의 버스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느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중국산 버스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는 관광 버스기사들이다. 관광객이 곧 수입과 직결되기 때문에 중국산 버스가 불안해도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중국인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버스업계 관계자는 “현재 중국 버스는 국산 동급 대비 저렴해 몇몇 운송사들이 선호하지만, 안전성 문제로 곤혹을 치른 바 있는 중국버스가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을지 걱정스럽다.”고 불안감을 표현했다.

지자체 전기버스 선정에 중국산 ‘눈독’
제주도는 국내에서 전기 승용차를 비롯해 전기버스 도입을 가장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지역으로 6월부터 전기버스의 상업운행을 개시한다. 시범운행에서 벗어나 시내버스 노선에 전기버스가 도입되는 것은 전국에서 제주도가 처음이다.

흥미로운 것은 제주도의 명물로 자리 잡을 전기 시내버스가 중국 타이치 그룹 TGM사의(구 한국화이바) 전기 버스라는 사실이다. 국내에도 자일대우버스가 전기 버스를 생산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수가 소량이고 납품 시기와 가격 등 조건이 맞지 않아 결국 TGM 전기 버스를 도입하게 됐다는 관계자의 전언이다.

제주도뿐만 아니라 김포, 포항, 부산시 등 국내 다수 지역 역시 전기 버스를 잇달아 도입한다고 밝힌 상태에서 중국 업체들의 전기 버스가 도입되면 국내 전기버스 시장은 순식간에 중국산 전기 버스로 잠식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제주 전기 버스 사업은 상징성이 강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협상에 참여해 힘들게 공급계약을 이끌어낸 경우다.”라며 “전기버스 보급 확대를 위해 국내 업체의 시장 참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예상치 못한 중국산 버스의 깜짝 선전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심심치 않게 터져 나오고 있다.

버스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산 버스는 상대적으로 A/S 시설이 충분하지 않고 고장이 나면 수리가 쉽지 않아 탈 때 마다 불안하다.”며,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철저한 안전기준 마련과 서비스센터 증설 등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인 관광객 특수와 국내기업이 주춤하고 있는 전기 버스 시장을 파고들어 국내 버스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는 중국산 버스. 국내 버스 시장에서의 안착을 위해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쌓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