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장업계 발전 위해 제작·인증 제도 개선에 집중
상용차 제작업체와는 대등하고 협력적인 소통의 장 마련
다양한 목소리 청취 위해 특장업체들 적극 참여 기대

“특장 관련 법 가운데는 너무 오래된 것들이 많습니다. 특장업계 발전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원인도 여기서 찾을 수 있어요. 정부와 활발한 소통을 통해 그간 특장업계의 애로사항으로 지목됐던 제도들을 적극 개선해 나갈 생각입니다.”

지난 5월 한국자동차제작자협회(이하 자제협) 제11기 회장으로 취임한 이상열 회장(한국토미 대표이사)의 목소리에선 결연함이 묻어났다. 이 회장은 특장업계의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낡은 제도를 개선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자제협은 국내 특장업계의 발전과 권익 증진을 위해 지난 2003년 4월 발족한 사단법인이다. 자동차인증 및 튜닝검사 지원 업무를 비롯해 기술인력 양성 및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로 설립 20년 차를 맞이했으며, 현재 80여 개의 특장 및 부품업체가 회원사로 몸담고 있다.

이런 자제협은 낙후된 특장 관련제도 개선을 주도하며 특장업계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11월 암롤박스 없이도 자기인증이 가능하도록 암롤차 인증 제도를 개정했으며, 올해 5월엔 계속안전검사 제도를 개선, 일정 시설과 인력을 갖추면 특장업체 스스로 차량 안전검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자제협은 이들 규제 개선을 통해 연간 수백억 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내다봤다. 물론 이는 최근의 사례로, 과거까지 되돌아 보면 상당한 제도 개선을 이뤄냈다. 회원사들뿐만 아니라 특장업계 전반이 제도상의 혜택을 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회장은 오랜 기간 자제협 임원(감사)으로 활동하며 협회발전을 기획하고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신임 회장으로서의 행보를 ‘대등한 협력’과 ‘제도 개선’ 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요약했다. 정부에는 꾸준한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상용차 제작업체(트럭섀시 메이커)와는 대등하고 수평적인 조건에서 서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합리적인 특장 제작 여건을 조성하겠다며, 임기 내 협회가 나아갈 방향과 포부를 밝혔다.  

“한 대의 특장차가 만들어지기까지 다양한 구성원들이 유기적으로 제 역할을 해야 합니다. 서로 협력하지 않는다면 공멸할 수밖에 없는 구조지요. 때문에 업계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나아가 원만한 소통 체계가 구축된다면 제도를 개선하는 작업도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임기 기간 국내 특장업계의 르네상스를 꿈꾼다는 이 회장. 지난 7월 한국토미 전주공장에서 이 회장을 만나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제도 개선’을 최우선 목표로 내세운 이유는?
A. 특장차 제작 및 인증과 관련된 규제 가운데는 20~30년 된 것들이 많다 보니 현재 실정에 맞지 않은 것들이 있다. 이를 개선하는 것이 국내 특장업계의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Q. 구체적으로 제도를 어떻게 개선할 계획인가?
A. 우선 특장차 인증 제도를 보다 합리적으로 바꾸고 싶다. 현재 차량 인증 신청과 결과 보고 같은 업무를 국가기관이 수행하고 있는데, 이를 자제협이 위탁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차량 인증 및 검사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특장차 사후관리제도와 특장차제작자 인력기준을 도입해 업계 전반적인 품질과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나아가서는 제작차종별 자격기준과 화물차 차종분류 및 공급기준 개선, 노후화물차 교체 촉진제도를 도입하는 등 그간 업계 애로사항으로 지목됐던 낡은 규제를 바꾸는 데 힘쓸 것이다. 

Q. 제도 개선이 쉬운 일은 아닌데? 
A. 어렵겠지만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그간 쌓아 온 경험과 노하우를 총동원할 것이다. 이미 성과도 내고 있다. 지난해 낙후된 암롤차 인증제도를 개선했고, 올해는 특장업체의 자기인증제도 규제 완화와 버큠로리(오폐수차) 안전검사 개선을 주도했다. 
규제 적용 시점을 유예하는 것도 자제협의 역할이다. 새롭게 시행되는 규제가 특장업계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적재중량 3.5톤 이하 화물차에 첨단안전장치가 의무화됐을 때도 특장차만 연말까지 유예한 바 있다.

Q. 제도 개선과 함께 ‘협력’을 강조한 이유는?
A. 국내 자동차 산업은 크게 정부와 상용차업체, 특장업체라는 세 구성원으로 이뤄졌는데, 차량 제작 구조 특성상 서로 호흡을 맞춰야 한 대의 온전한 화물차를 만들수 있다. 이들 구성원 간의 원만한 소통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곧 특장업계의 건강한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한다.

Q.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준비 중인 계획이 있는가?
A. 가장 중요한 건 소통이다.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는 각종 모임과 홍보를 통해 협회 회원사를 적극 유치할 것이다. 국내 특장 관련 업체는 총 500여 개사다. 이중 메이저 특장업체는 약 100곳 정도 되는데, 절반이 협회 소속이다. 향후 2년간 메이저 특장업체 회원사를 70개사로 늘려 다양한 특장업계 목소리를 듣고자 한다.
대외적으로는 섀시 메이커인 상용차업체와 스킨십을 넓힐 계획이다. 실무진 정례회를 비롯해 상용차업체 제조 공장 방문, 특장업계 고충 대변과 같은 활동을 통해 상용차업계와 자유로운 소통, 왕래가 가능한 관계를 만들겠다.

Q. 끝으로 특장 시장에 바라는 모습이 있다면?
A. 무엇보다 ‘안전한 특장시장’이 되었으면 한다. 특장업계 스스로 누구나 믿고 탈 수 있는 특장차를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현실에 맞지 않는 제도를 고쳐나가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일조하겠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